creative

XEDITION

SNU AgeLab 주요 프로젝트

 

2020-2024 건강·돌봄 AI 선도·혁신 연구센터 (책임; 서울대학교)

2021-2024  BK 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 (공동교육부)

2021-2024 분야별 의료공급체계 개편 실행방안 연구 (세부 책임국민건강보험공단)

2021-2024 환자중심 방문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험대조 연구 (세부 책임; 보건복지부)

2023-2024 인구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균형 대응 연구(공동; 서울대학교)

2023-2024 비표준 보상 데이터 강화학습 방법론 개발과 시니어 디지털헬스케어 초개인화를 위한 적용(책임; 과학기술정보통신부)

 

2023 시설입소 위험도 평가체계 개발 및 검증 연구(책임; 보건복지부)

 

2022 Public-Private Mix for Continuity of Carer for Older Persons with a focus on South Korea (공동; WHO)

2022 의료건강돌봄통합연계형 커넥티트 헬스커뮤니티 RnD 사업기획연구 (세부 책임; 보건복지부)

2022 지역사회 거동불편 노인의 적절한 의료요양 연계를 위한 재택의료 가이드라인 개발 (공동; 보건복지부)

2020-2022 도시취약노인 대상 맞춤형 방문 건강웰니스 서비스 모델 개발 연구용역 (책임: 질병관리청, 중랑구보건소)

2021-2022 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코로나보기 기획연구단 (공동서울대 보건대학원)

 

2021  초고령사회 대비 노인돌봄체계 개편방안 (책임기획재정부)

2021 AI돌봄 알고리즘 개발과 평가-사례연구와 향후 과제 (책임서울대학교 AI연구원) 2021

2021 Korea-WBG Partnership on Pandemic Preparedness and Response (공동, World Bank Group)

2017-2021 AsiaAHCS Project: Strengthening Aging Health-Care Systems in East Asia Through Comparative Evidence Building (AXA Research Fund, France)

2018-2021 ICT 활용 맞춤형 고령자 통합 협진 서비스 모델 개발 및 검증 (한국보건산업진흥원)

 

2020 인지기능 장애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재활운동 및 체육 프로그램 개발 (공동 연구자: 국립재활원

2020 한국 노인 AI돌봄의 동향과 융합 연구개발 방안 (책임: 서울대학교)

2020 재가노인 건강관리강화 시범사업 참여자 건강기능상태 평가조사 (책임: 국민건강보험공단)

2016-2020 모바일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융합형 보건인재양성사업단 (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)

2018-2020 의료공급체계 개선 모형 개발 연구 (국민건강보험공단)

2019-2020 2019년도 이종욱 펠로우십 프로그램 보건정책과정 위탁 운영 (한국국제보건의료제단)

 

2019 한국과 일본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 지역 간 격차 비교 (한국보건행정학회, 질병관리본부)

 

2016-2017 A cross-national study of avoidable hospitalizations among older adults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(Fulbright Mid-Career Research Award Research, U.S. Dept. of State)

2016-2017 조기사망 및 보건의료서비스 고이용 위험군의 선별과 예측모형개발 (서울대학교 빅데이터연구원),

 

2016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운영 성과평가 및 제도모형 재설계 방안 연구 중장기요양욕구 평가서비스계획 및 평가체계의 연계 체계 구축 방안” (한국보건사회연구원)

2016 호스피스와 연명의료에 법제화에 따른 대학과 병원의 역할 및 발전방안 (서울대학교)

2013-2016 과학적 포괄기능평가에 기반한 고위험군 시니어를 위한 웰니스·건강 지원서비스 모델 개발 (한국보건산업진흥원

2015-2016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건의료복지 고위험·고비용 집단의 선별과 예측모형 개발(서울대학교 빅데이터연구원)

 

2015 (KSP-ADB공동컨설팅개도국의 보편적 의료보장제도 개선 지원 사업 (한국수출입은행)

2015 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 재정추계모형 연구 (국회)

2015 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수립 연구-2분과치매돌봄분과 (보건복지부)

2013-2015 노령인구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 (국립환경과학원)

2013-2015 한국 노인의 인지적 비축 및 치매 위험 매개요인 연구 (서울대 발전기금)

2013-2015 의학적 치료를 받은 노인의 낙상 발생 양상 및 낙상 후 결과에 따른 의료비 지출 (분당 서울대병원 빅데이터 연구기금)

2014-2015 노인장기요양보험 성과지표 개발 연구 (국민건강보험공단)

 

2013-2014 생애과정과 건강결정요인다학제적 접근 (서울대학교)

 

2012-2013 실태조사를 통한 노인의료(요양)서비스 제도개선방안 연구용역 (국민건강보험공단)

2012-2013 노령인구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(II) (국립환경과학원)

2010-2013 장기요양자 표준평가도구 및 표준건강성과정보군 개발에 관한 연구 (교육과학기술부)

 

2012 대국민 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 도구개발 연구용역 (국민건강보험공단)

2012 노인장기요양 욕구 필요도 측정방식 개발 (한국보건사회연구원)

 

2011 일반질지표 평가체계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(건강보험심사평가원)

2011 암 보장성 강화 전후 의료서비스 및 건강불평등 평가 (한국보건의료연구원)

2011 지속가능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추계 연구용역 (국민건강보험공단)

2009-2011 사회경제요인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복합만성질환과 노인증후군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하여 (서울대학교)

 

 

 


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221동 309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고령화보건정책  서비스 연구실

1 Gwanak-ro, Gwanak-gu, Seoul 08826, Building no. 221 Room no. 309 Aging Health Policy and Systems Research Lab

Copyright@2019 Aging Health Policy and Systems Research Lab.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.

Seoul National University. All rights reserved. 

 

 

menu